Arduino
-
Water, SW-520D(기울기 스위치), 다이오드Arduino/기타 센서 2020. 11. 4. 18:37
1. Water Sensor water 센서의 Signal핀은 아두이노의 A5핀에 연결하고 나머지 두 선은 아두이노의 5V와 GND핀에 연결한다. 하드웨어의 연결은 무리 없이 연결할 수 있다. 아래의 소스는 업로드를 하고 실행해보자. 그리고 센서에 약간의 수분을 뿌려주면 값이 변화될 것이다. 소스 코드 더보기 void setup() { // put your setup code here, to run once: Serial.begin(9600); } void loop() { // put your main code here, to run repeatedly: Serial.println(analogRead(A5)); delay(100); } 2. SW-520D(기울기 스위치) 센서 기울기와 충격 센서로 활용가..
-
릴레이의 기본적인 연결과 LED와 연결하고 켜고 끄기Arduino/릴레이 2020. 11. 4. 18:00
부품의 설명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스위칭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다. 한쪽 부분은 전자석, 한쪽 부분은 스위치이다. 2개의 핀(디지털 핀, GND), 3개의 핀(2접점, GND)로 이루어져 있다. 회로 해석 트랜지스터는 스위치 역할이 가능하다. 트랜지스터 Base에 전압을 공급하면 스위치가 ON되는 것과 같다. digital3번 핀에 5V를 인가하는 순간 D-E는 전류가 흘러 전자석 역할을 한다. 이 때, A-C에 붙어 있는 스위치가 전자석이 밀어주므로써 B-C로 스위칭이 된다. B-C 지점에 5V - 다이오드 - B-C - 저항330옴 - GND 를 구성하면 1초 간격으로 On/Off 회로가 구성된다. 하드웨어 연결 릴레이의 Signal은 아두이노의 디지털핀 0번에 연결한..
-
MH Real Time으로부터 시각을 읽어서 7Segment x 4EA에 출력하기Arduino/MH Real Time 2020. 11. 3. 18:05
우선 하드웨어의 연결은 아래를 보자. designatedroom87.tistory.com/278 아두이노와 MH Real Time과 연결하고 간단한 문자열 함수 보기 MHREAL TIME의 CLK은 아두이노의 A4번 핀에 연결 MHREAL TIME의 DAT은 아두이노의 A3번 핀에 연결 MHREAL TIME의 RST은 아두이노의 A2번 핀에 연결 나머지 핀은 GND와 VCC를 연결한다. 라이브러리는 DS1302를 추.. designatedroom87.tistory.com 아래는 아두이노와 7Segment x 4EA와의 연결이다. designatedroom87.tistory.com/273?category=900663 7Segment x 4EA와 아두이노의 연결 & 숫자 출력하기 테스트로 처음에 4자리 디지..
-
아두이노와 MH Real Time과 연결하고 간단한 문자열 함수 보기Arduino/MH Real Time 2020. 11. 3. 17:50
하드웨어의 연결 위의 표에서는 D2~D4에 핀을 연결하였는데, A2~4번핀에 연결하자. MHREAL TIME의 CLK은 아두이노의 A4번 핀에 연결 MHREAL TIME의 DAT은 아두이노의 A3번 핀에 연결 MHREAL TIME의 RST은 아두이노의 A2번 핀에 연결 나머지 핀은 GND와 VCC를 연결한다. 라이브러리는 DS1302를 추가해서 사용한다. 기본적인 내용을 시리얼 모니터를 통해 출력해보자. 소스 코드 더보기 // DS1302 라이브러리를 추가 #include #define SCK_PIN A4 // 클락(출력핀) #define DAT_PIN A3 // 데이터(입력핀 일 수도 출력핀일 수도) #define RST_PIN A2 // 리셋(출력핀) DS1302 rtc(RST_PIN,DAT_PIN,..
-
포텐시오미터의 값을 읽어 7Segment x4EA에 표시하기Arduino/7 Segment x 4EA 2020. 11. 2. 18:27
포텐시오의 하드웨어적인 연결은 아래를 참고하자. designatedroom87.tistory.com/201?category=896892 포텐시오미터의 값을 읽어 LED밝기 조절하기 부품의 설명 신호는 아두이노의 A0핀으로 읽는다. 저항의 크기를 가변으로 조절하는 장치이며, 가변저항은 극성이 없으므로 VCC와 GND가 바뀌어도 된다.입출력 형태는 아두이노의 값을 입력한다. designatedroom87.tistory.com 연결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소스는 아래의 내용의 거의 다 가지고 온다. 아래를 참고해보자. designatedroom87.tistory.com/274?category=900663 시리얼 통신을 이용해서 입력받은 수를 7Segment x4에 출력하기 우선 시리얼 통신을 하기 전에, 문제..
-
시리얼 통신을 이용해서 입력받은 수를 7Segment x4에 출력하기Arduino/7 Segment x 4EA 2020. 11. 2. 18:20
우선 시리얼 통신을 하기 전에, 문제를 좀 더 간단히 해보자. 시리얼 통신을 통해서 4자리 숫자 받았다고 가정해보자. 그런 이후에 FourDigitalNum라는 함수의 매개변수로 이 숫자를 전달하면 7Segment에 이 숫자가 출력되도록 하자. 여기서 4자리 숫자를 입력받는 이유는 7Segment가 4 자리이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하드웨어 연결과 소스들은 아래에서 그대로 거의 다 가지고 와서 구현한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자. designatedroom87.tistory.com/273 7Segment x 4EA와 아두이노의 연결 & 숫자 출력하기 테스트로 처음에 4자리 디지털 핀 중에서 맨 왼쪽의 a부분에만 LED를 켜려면 다음과 같이 연결하면 된다. 아두이노의 3.3볼트핀에 7Segment x 4EA의..
-
7Segment x 4EA와 아두이노의 연결 & 숫자 출력하기Arduino/7 Segment x 4EA 2020. 11. 2. 18:02
테스트로 처음에 4자리 디지털 핀 중에서 맨 왼쪽의 a부분에만 LED를 켜려면 다음과 같이 연결하면 된다. 아두이노의 3.3볼트핀에 7Segment x 4EA의 11번핀을 연결하고 7Segment x 4EA의 12번핀에 220옴 저항을 12번핀과 같은 라인으로 저항의 한 다리를 왼쪽으로 되게 꽂는다. 이 부분에 아두이노의 GND를 연결해서 a에 LED가 들어오면 된다. 아래는 아두이노와 7Segment와의 연결할 핀 설정 부분이다. a(11)는 아두이노 2번핀. 괄호는 7Segment b(7)는 아두이노 3번핀. 괄호는 7Segment c(4)는 아두이노 4번핀. 괄호는 7Segment d(2)는 아두이노 5번핀. 괄호는 7Segment e(1)는 아두이노 6번핀. 괄호는 7Segment f(10)는 아..
-
7Segment와 포텐시오미터를 연결해서 제어하기Arduino/7 Segment 2020. 10. 31. 20:45
포텐시오미터는 그 입력값이 0~1023이다. 이 입력값의 범위에 따라 7Segment에 십진수를 출력해보자. 즉, 이 포텐시오미터의 입력값을 십진수 0 ~ 9 사이의 값으로 맵핑을 하면 될 것 같다. 포텐시오미터는 아두이노의 A0핀에 연결한다. 포텐시오미터와 아두이노의 연결은 아래를 참고하자. designatedroom87.tistory.com/201?category=896892 포텐시오미터의 값을 읽어 LED밝기 조절하기 포텐시오미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저항을 변경하면 전압이 변함 2. 출력된 전압 값은 아두이노에 아날로그 형태로 입력 (아두이노는 저항의 값에 따라 입력값을 0~1023의 값의 형태로 변환하 designatedroom87.tistory.com 아래는 포텐시오미터의 하드웨어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