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JVM Memory 운용 ModelJAVA/JVM 2020. 10. 11. 20:59
1. System Memory Model java Test이 발생하고나서의 상황 --------------------------------------------- - 구획별 메모리는 64KB단위로 구분되어 있다. ┌───────────┐CS: Code Segment │[코드 영역] │ │Test Class의 Source가 │ │등록되는 영역 │ ├───────────┤DS: Data Segment │[Data 영역] │ │static변수, │ │static 메소드 저장 │ │main() │ │객체를 만들지 않아도 │ │이영역의 요소 사용가능│ ├──────────-┤SS: Stack Segment │[Stack 영역] │ │메소드가 사용하는 영역│ │메소드 안에서 선언되는│ │지역변수가 선언, │ │메소..
-
final(상수)JAVA/KeyWord 2020. 10. 11. 17:49
상수 선언 : public static final int 변수명 = 값; - 고정된 같은 값이 반복해서 쓰이는 경우 상수를 이용하면 유지보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 public: 누구나 사용할 수 있음. - static: 객체를 만들지 않고도 사용 할 수 있음. - final: 변수의 값을 변경할 수 없음. - int: 정수를 저장함. - 상수의 예: . 1년 365, 1주일 7일등 로직상에서 변하지 않는 고정된 값 또한 상수의 대상이 된다. . 상수 사용이 많은 클래스: Calendar Class 등 프로그램 실행결과 소스 파일
-
상속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 구하기JAVA/Interface 2020. 10. 11. 17:10
문제 도형(원, 삼각형, 직사각형)의 넓이와 둘레 구하는 공식은 인터넷을 검색해서 확인하세요. 1. 삼각형의 넓이는 헤론의 공식을 참고하세요. 넓이 = Math.sqrt(s(s-a)(s-b)(s-c)) s = (a+b+c)/2 2. Shape 인터페이스를 원과 삼각형과 직사각형 클래스에 구현하세요. (implement -> 넓이와 둘레는 오버라이딩 해야 합니다.) 3. main()메소드가 있는 MainTest에서 각각 도형은 interface type으로 형변환 합니다. ( Shape s = new 원(10); s = new 삼각형(10,10,10); ) 4. 각 도형의 멤버변수는 생성자를 통해서 초기화 해주세요. 5. java.text.DecimalFormat 객체를 이용해서 소수점 2째 자리까지 표현..
-
익명JAVA/Interface 2020. 10. 11. 14:48
1. 인터페이스로 익명class, 익명객체 생성 프로그램 실행결과 프로그램 분석 위의 문장은 객체가 없어서 메모리에 만들어졌다가 바로 소멸한다. 위와 같이 문장을 작성하면,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익명 객체를 동적으로 생성했다가 필요없으면 바로 소멸된다. 소스 파일 2. 함수의 매개변수로 인터페이스를 전달하고 그 인수로 코드(익명 클래스)를 전달 프로그램 실행결과 소스 파일 3. class안에 인터페이스와 내부인터페이스의 구현과 사용 프로그램 실행결과 소스 분석 Banana는 인터페이스이므로 객체화를 하기 위해서는 추상 메소드를 정의해줘야 한다. 위는 익명 객체를 만드는 것인데, 위 내용과 마찬가지로 추상 메소드를 정의해야 한다. 위는 익명 객체를 만드는 것인데, 위 내용과 마찬가지로 추상 메소드를 정..
-
예외의 종류JAVA/예외처리(Exception) 2020. 10. 11. 13:54
예외의 선언은 처음에는 좁은 범위를 잡고 다음으로 내려갈수록 넓은 범위의 예외를 아래처럼 명시한다. - 예외의 파악이 불분명한경우 Exception 클래스로 받는다. 1. 예외의 종류 소스 파일 프로그램 실행결과1 매개변수를 하나만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 프로그램 실행결과2 매개변수를 각 각 100 0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 프로그램 실행결과3 매개변수를 각 각 숫자가 아닌 문자열 "하나" "둘"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 2. 예외의 파악이 불분명한경우 Exception 클래스로 받는다. - return: finally는 무조건 실행된다. - System.exit(0): finally실행 안 된다. 프로그램 실행결과 소스 파일 3. 반드시 예외처리를 지정..
-
예외처리(Exception) 개념JAVA/예외처리(Exception) 2020. 10. 11. 13:00
예외처리(Exception) - 예외는 프로그램 개발시에 발생하는 에러와 다르다. - 프로그램 개발시에 발생하는 에러는 전부 수정해야 한다. - 안정적으로 컴파일된 후 운영중에 발생하는 에러는 대부분 "예외"인 경우가 많다. 예외는 코드상에서 발생하는 에러하고는 다르며 컴파일시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마치 디스켓을 읽어오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디스켓이 없는 상태에서 읽기 기능을 작동하여 발생하는 에러와 같은 것이다. - 예외 처리를 하면 예외가 발생되서 프로그램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나머지 루틴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다. - 자바는 객체지향 언어임으로 예외 메시지도 객체지향적으로 처리한다. 예외처리 사용법 예시 1. 예외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 실행결과 소스 파일 2. 예외를 처리한 경우 프로..